일본의 대학교 입시제도
- june ho oh
- 2024년 11월 13일
- 2분 분량
일본에서 10년 살고 있는 한국인으로, 한국의 수능과 비교하면서 일본의 대학교 입시제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일본의 대학교 입시제도는 대학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주로 전국 대학 입학시험(센터시험)과 각 대학의 개별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 전국 대학 입학시험이란?
일본에서는 '전국 대학 입학시험'(현재는 '대학 입학 공통 테스트'라고 불림)이 중요한 필기시험으로 매년 1월에 실시된다. 이 시험은 수험생들이 대학 입학의 기본 점수를 결정하기 위해 응시하는 테스트이다. 연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과목들이 포함된다:
영어
수학
국어(일본어)
과학기술
사회(지리, 역사, 정치 등)
이 전국 시험의 결과는 국공립 대학의 2차 시험에 필요한 자격으로 활용되며, 사립 대학의 경우도 이 시험 결과가 선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각 대학의 개별 시험
전국 대학 입학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대학은 독자적인 개별 시험을 실시한다. 이 개별 시험은 각 대학의 교육 방향에 맞추어 출제되며, 시험 과목과 유형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문과 계열은 국어와 영어 중심의 시험을 치르는 반면, 이공 계열은 수학과 과학 과목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일본에서는 특정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강한 편이며, 특히 유명한 국공립 대학이나 도쿄대학교, 교토대학교 같은 명문대학의 입시는 매우 경쟁이 치열하다. 각 대학의 개별 시험에서는 수험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추천 입시 제도와 AO 입학 전형
일본에는 한국과는 다른 독특한 입시 제도로 '추천 입시'와 'AO 입학 전형'이 있다. 추천 입시는 고등학교에서 추천한 학생이 대학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학교 성적과 교내 활동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된다. AO 입학 전형은 학생의 다양한 경험과 역량을 평가하며, 서류 심사와 면접을 통해 학생의 잠재력과 대학 적응 가능성을 판단한다.
이러한 입시 제도는 학생들에게 필기시험 외에도 다양한 경로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업 외에도 폭넓은 경험을 쌓은 학생들이 대학에 지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본의 입시와 한국의 수능 비교
한국의 수능이 단 하루에 모든 것이 결정되는 대입 시험이라면, 일본의 입시는 비교적 여러 단계로 나뉘어져 있어 수험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나 역시 일본에서 오랜 기간 생활하면서 이러한 입시 제도의 차이를 느꼈다. 한국에서는 수능 준비를 위해 모든 시간을 투자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본에서는 각자의 강점에 맞춘 다양한 입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좀 더 유연한 느낌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의 입시 제도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역량을 인정하려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과 다른 점이라 흥미롭게 다가온다.
결론
일본의 대학교 입시 제도는 전국 대학 입학시험과 각 대학의 개별 시험, 그리고 추천 입시와 AO 전형 등 다양한 경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여러 번의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에서의 생활을 통해 이러한 입시 제도의 장단점을 직접 경험하고 느끼며, 한국의 수능과 비교했을 때 각 나라의 교육 철학과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