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숫자로 보는 일본기업 분석]스바루(SUBARU Corporation)

  • 작성자 사진: june ho oh
    june ho oh
  • 2월 7일
  • 3분 분량

일본에서 10년간 거주하며 일본 취업시장의 전문가로서 커리어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오늘은 일본을 대표하는 자동차·항공기 제조사 중 하나인 스바루(SUBARU Corporation)에 대해 숫자를 통해 분석해보겠습니다. 스바루는 독특한 AWD(4륜구동) 기술과 수평대향 엔진(박서 엔진)으로 유명하며, 스포츠카와 SUV 라인업으로 미국·일본 시장에서 강력한 팬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스바루(SUBARU)의 역사

설립과 성장

  • 1953년: 일본 항공기 제조사 '나카지마 비행기'(中島飛行機) 후신인 후지중공업(富士重工業)이 설립.

  • 1958년: 소형차 ‘스바루 360’ 출시, 일본 경차 시장에서 성공하며 브랜드를 알림.

  • 1960~1970년대: 후지중공업이 항공기·산업기계와 함께 자동차 부문을 본격 확대. 수평대향(박서) 엔진, AWD(4륜구동) 기술 등 스바루의 개성적 기술 기반 다져짐.

  • 2000년대: 북미 시장에서 레거시(Legacy), 아웃백(Outback), 임프레사(Impreza) 등이 인기를 얻어 매출 확대. 2017년 사명을 ‘후지중공업’에서 ‘스바루(SUBARU Corporation)’로 변경.

  • 2023년 기준: 전 세계 약 3만 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 북미·일본을 중심으로 자동차 판매를 전개하며 항공우주 부문도 병행 운영.


스바루의 주력 사업

자동차 제조 및 항공우주 부문

  1. 승용차·SUV 라인업

    • 임프레사(Impreza), 레거시(Legacy), 포레스터(Forester), 아웃백(Outback), XV(Crosstrek) 등 주력 모델.

    • 수평대향(박서) 엔진과 AWD를 대부분의 모델에 적용해 주행 안정성과 스포티한 핸들링 강조.

  2. 고성능·스포츠 모델

    • WRX STI, BRZ 등 스포츠 모델로 자동차 마니아층 형성. 랠리·모터스포츠에서 스바루의 튼튼한 AWD 성능 입증.

  3. 전동화·하이브리드·EV

    • 최근 전기차(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전략을 추진, 도요타와 기술 제휴로 bZ 시리즈 공유(예: 스바루 솔테라(Solterra) 등).

  4. 항공우주·산업 기계

    • 항공기 부품(헬리콥터, 무인기 등) 제조, 미쓰비시 스페이스제트 등 프로젝트 참여(가정 예시).

    • 산업용 기계·스키 리프트 등 일부 특수 기계 사업도 전개 (후지중공업 시대 잔재).


스바루의 세계시장 점유율

  •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의 위치

    • 도요타, 폭스바겐, 현대기아 등 대형 메이커 대비 생산량은 작으나, 미국 시장에서 상당한 충성고객층 확보.

    • AWD 기술과 안전성, 박서 엔진 등 독자적 브랜드 가치로 니치(Niche) 강점.

  • 매출 구성

    • 2022년 매출액(연결 기준): 약 3조 엔(약 28조 원) 전후 추정

      • 자동차 부문(승용차·SUV): 약 90%

      • 항공우주·기타: 약 10%

  • 해외 매출 비중

    • 북미 시장 판매 비중이 매우 높아, 전체 매출의 70% 이상이 해외(특히 미국)에서 발생.


스바루의 경영 방침

재무 성과

  • 매출액

    • 2022년: 약 3조 엔 수준, 북미시장 호조와 엔저(円安) 효과로 수익 개선

  • 영업 이익

    • 원재료(철강·반도체 등) 가격 상승, 공급망 이슈 있지만, 고부가가치 모델 판매로 이익률 유지

  • 순이익

    • 해외 환율 영향 큼. 미국 판매 호조 시 흑자 확대, 반도체 부족 등 리스크 여전히 존재


경영 철학과 전략

  • “소형·개성·AWD”

    • 대형 메이커와 차별화, 중형~소형 SUV·세단에 집중, 박서 엔진+AWD로 안정적 주행감

  • 북미 집중·글로벌 확대

    • 미국 고객 만족도ㆍ리텐션(Retention) 높음, 딜러 네트워크 강화

    • 유럽·중국 시장에선 소규모 운영

  • 전동화(EVㆍ하이브리드) 전환

    • 도요타와 협업(배터리·플랫폼 공유)해 신규 EV 모델(Solterra 등) 출시

  • AIㆍ안전기술 개발

    • 아이사이트(EyeSight)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개선, 자율주행 레벨 향상

  • ESGㆍ환경 경영

    • 탄소배출 저감 목표, 공장 에너지 효율화, 재생에너지 도입


스바루의 급여와 복리후생

급여

  • 평균 연봉(정규직 기준)

    • 700~800만 엔(약 6,600~7,600만 원) 수준, 일본 자동차 업계 중간~상위권

  • 성과급

    • 보너스: 연 2회, 회사 실적+개인 평가 반영

      • 평균적으로 기본 급여의 5~6개월분 지급

  • 승진 및 인상

    • 연구개발, 품질, 해외영업 등 성과+근속+직급 체계 종합 평가

복리후생

  • 건강 관리

    • 정기 건강 검진, 사내 의료 시설(일부 공장), 단체 상해보험

  • 교육 지원

    • 기술 세미나(엔진·AWD), 해외 파견, 전문 자격 취득 지원, 언어교육(영어 등)

  • 근무 환경

    • 생산직 교대근무(공장), 본사(도쿄) 사무직 일부 유연 근무

    • 연간 20일 이상의 유급 휴가

  • 가족 지원

    • 육아 휴직(남녀 모두), 자녀 교육 수당, 사택ㆍ기숙사(공장 인근)

  • 기타 혜택

    • 사내 동호회, 직원 할인가(스바루 차량 구매 및 정비 시), 스톡옵션 일부 부서 등


참고 자료

  • 스바루(SUBARU) 공식 웹사이트: 기업 정보, IR 자료, 모델 라인업

  • 일본 자동차공업협회: 자동차 제조ㆍ수출 통계

  • 일본 경제신문(Nikkei): 2023년 자동차ㆍ반도체 공급 동향 기사

  • Statista: 글로벌 및 일본 자동차 시장 데이터



이상으로 스바루(SUBARU Corporation)의 역사부터 주력 사업, 세계 시장 점유율, 경영 방침, 그리고 (일부 추정치 포함) 급여와 복리후생까지 분석해보았습니다. 스바루는 독특한 AWD 기술, 수평대향 엔진, 안전성을 강조한 모델로 특히 북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일본 자동차 업계에서도 개성 있는 브랜드로 확고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동차·제조업에 관심있는 취업 준비자들에게도 R&Dㆍ디자인ㆍ생산ㆍ해외 영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글로벌 커리어 기회를 제공하는 매력적인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