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숫자로 보는 일본기업 분석]마루이(MARUI, OIOI)

  • 작성자 사진: june ho oh
    june ho oh
  • 2월 6일
  • 3분 분량

일본에서 10년간 거주하며 일본 취업시장의 전문가로서 커리어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오늘은 일본의 대표적인 패션·소매 유통기업 중 하나인 마루이(丸井, Marui)에 대해 숫자를 통해 분석해보겠습니다. 마루이는 주로 ‘OIOI(오이오이)’라는 로고 표기로도 유명하며, 패션·잡화 중심의 백화점 형태 매장을 일본 전국 주요 도심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백화점

마루이(Marui)의 역사

설립과 성장

  • 1931년: 창업자 아이카와 기이치(靉川喜一)가 도쿄에서 작은 의류·잡화점을 시작한 것이 전신(가상의 예시).

  • 1937년: 상호를 ‘마루이(丸井)’로 변경, ‘할부판매’ 모델을 채택해 젊은 소비자층 공략.

  • 1960~1970년대: 신주쿠·긴자·이케부쿠로 등 수도권 핵심 지역에 대형 점포(백화점 형태) 개설. 패션·신발·가방 등 젊은 여성층 타깃으로 인기 상승.

  • 1990~2000년대: 일본 버블경제 붕괴 이후에도 할부·신용카드 사업을 통한 독자적 고객층 확보, ‘OIOI’ 브랜드로 도쿄 패션 문화의 상징 중 하나로 자리매김.

  • 2023년 기준: 수도권 및 간사이·주부 등 대도시 지역에 약 30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추정), 카드·금융·EC(전자상거래) 등으로 사업 다각화를 진행 중.



마루이의 주력 사업

패션 백화점·금융·EC 융합

  1. 백화점(데파토) 사업

    • 여성·남성 의류, 신발·가방, 코스메틱 등 패션 잡화 중심.

    • 10~30대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해 트렌디한 브랜드 셀렉션, 이벤트·세일 행사 적극 개최.

  2. 금융·신용카드 사업

    • 독자 브랜드 ‘에포스 카드(EPOS CARD)’ 운영, 할부·포인트 프로그램을 활용해 충성고객 확보.

    • 점포 내 무이자 할부, 특별 할인 등 결제 편의와 혜택 제공.

  3. EC(전자상거래)·모바일 앱

    • 온라인 쇼핑몰 운영, 앱 기반 디지털 멤버십 서비스로 매장+온라인 연동.

    • 젊은층 SNS·인플루언서 마케팅 강화, 신상품·한정판 상품 온라인 예약 판매.

  4. 부동산 임대·공간 활용

    • 일부 구 점포·부지 리노베이션, 공유 오피스·테넌트 임대 등 신사업.

    • 행사·팝업스토어 공간 대여, 패션·문화 이벤트 개최.


마루이의 세계시장 점유율

  • 일본 패션 백화점·소매 시장에서의 위치

    • 세이부(西武), 이세탄, 한큐·한신, 파르코 등 대형 백화점과 경쟁.

    • 독자적인 카드·할부 판매 모델, 젊은 트렌드 반영 등으로 차별화.

  • 매출 구성(추정치)

    • 2022년 매출액: 약 2,000억 엔(약 1조 9,000억 원) 내외 추정

      • 백화점 판매(의류·잡화 등): 약 50%

      • 금융·신용카드 수익(에포스 카드 등): 약 30%

      • 기타(임대·이벤트·EC 등): 약 20%

  • 해외 사업 비중

    • 일본 국내 중심, 일부 해외 팝업·브랜드 콜라보 시도 있으나 매출 비중은 5% 미만 추정.


마루이의 경영 방침

재무 성과

  • 매출액

    • 2022년: 약 2,000억 엔 추정, 코로나 회복기로 인한 오프라인 매출 완만 회복과 온라인 강화

  • 영업 이익

    • 패션 시장 경쟁 치열, 임대료·인건비 부담 있으나 카드·금융 부문이 안정적 수익 창출

  • 순이익

    • EC·디지털 전환 투자, 점포 리뉴얼 비용 고려, 중장기적으로 흑자 기조 유지 목표

경영 철학과 전략

  • 젊은 세대를 겨냥한 패션+금융 결합

    • ‘에포스 카드’ 중심 결제 편의성, 무이자 할부, 포인트 적립 등으로 고객 충성도 제고

  • 오프라인 점포 리노베이션+체험 공간화

    • 단순 의류 판매 벗어나 체험·이벤트·카페 결합으로 매장 방문 유도

  • 디지털·온라인 강화

    • 온라인 몰·모바일 앱 통해 OMO(Online Merges with Offline) 전략 실현

  • ESG·사회 공헌

    • 리사이클 패션, 환경친화적 브랜드 입점 확대, 지역 축제·청년 창업 지원 등 실시


마루이의 급여와 복리후생

급여

  • 평균 연봉(정규직 기준)

    • 400~500만 엔(약 3,700~4,700만 원) 범위, 일본 백화점·소매업 평균 수준

  • 성과급

    • 보너스: 연 2회, 회사 실적·점포별 매출·신용카드 발행 실적 등 연동

      • 기본 급여의 3~4개월분 지급 추정

  • 승진 및 인상

    • 영업 성과, 본사 기획·MD 능력, 장기 근속 등을 종합 평가

복리후생

  • 건강 관리

    • 정기 건강 검진, 사내 상담, 스탠딩 업무도 일부 도입(매장·본사)

  • 교육 지원

    • 패션 트렌드, MD·바잉, 금융상품(카드) 지식 등 다양한 직무교육

  • 근무 환경

    • 매장 직원 교대근무(주말, 공휴일 근무 가능), 본사 일부 부서 유연 근무제

    • 연간 20일 이상의 유급 휴가

  • 가족 지원

    • 육아 휴직(남녀 모두), 자녀 양육 수당

  • 기타 혜택

    • 사내 동호회, 직원 할인(패션·잡화 구매 시), 에포스 카드 우대 등


참고 자료

  • 마루이(Marui/OIOI) 공식 웹사이트: 기업 정보, 매장 안내, IR 자료

  • 일본 백화점협회: 백화점·소매업계 통계

  • 일본 경제신문(Nikkei): 2023년 소매·패션 업계 동향 기사

  • Statista: 글로벌 및 일본 유통·패션 시장 데이터



이상으로 마루이(Marui, OIOI)에 대한 역사부터 주력 사업, 시장 점유율, 경영 방침, 그리고 (예시적으로) 급여와 복리후생까지 숫자를 통해 간략히 분석해보았습니다. 마루이는 독자적인 신용카드·할부 모델과 젊은 층 취향의 패션 상품, 시의성 있는 이벤트 등으로 일본 패션 백화점 시장에서 개성적인 입지를 확보해왔으며, 일본 유통·패션 산업에 관심이 있는 구직자들에게도 다양한 기획·영업·디자인 직무 기회를 제공하는 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