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숫자로 보는 일본기업 분석]라라포트(ららぽーと, LaLaport)

  • 작성자 사진: june ho oh
    june ho oh
  • 2월 15일
  • 3분 분량

일본에서 10년간 거주하며 일본 취업시장의 전문가로서 커리어를 준비하고 있는 한국인으로서, 오늘은 일본의 대표적인 쇼핑몰 브랜드인 라라포트(ららぽーと, LaLaport)에 대해 숫자를 통해 분석해보겠습니다. 라라포트는 부동산 디벨로퍼 미쓰이부동산(三井不動産)이 전개하는 대형 쇼핑센터(‘Mitsui Shopping Park LaLaport’) 시리즈로, 수도권을 비롯해 일본 여러 지역에서 대형 종합 상업시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쇼핑

라라포트(LaLaport)의 역사

설립과 성장

  • 1981년: 최초의 ‘라라포트 도쿄베이(ららぽーとTOKYO-BAY)’가 지바현 후나바시(船橋)에 오픈. 대규모 평면형 쇼핑몰로 “쇼핑+레저+외식”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 주목.

  • 1990~2000년대: 수도권(도쿄·가나가와·사이타마) 및 간사이 지역(오사카 등)에 대형 쇼핑몰 확장. 패션·잡화·푸드코트뿐 아니라 엔터테인먼트(영화관·게임센터 등)를 결합한 복합몰로 인기를 끔.

  • 2010년대 이후: 지방 거점 도시(아이치, 후쿠오카 등)에도 라라포트 체인 출점 가속. 일부 해외(타이, 중국 등) 진출 사례(미쓰이 쇼핑 파크 라라포트)도 전개(가정 예시).

  • 2023년 기준: 일본 국내에 약 20~25개 이상 라라포트 쇼핑센터를 운영(추정). 연간 방문객 수는 각 쇼핑몰마다 수천만 명에 이르며, 일본을 대표하는 쇼핑몰 체인 중 하나로 인정받음.


라라포트의 주력 사업

대형 종합 쇼핑몰 개발·운영

  1. 쇼핑몰(패션·잡화·생활용품 등)

    • 패션(의류·신발·가방), 코스메틱·뷰티, 리빙·홈데코, 스포츠용품, 전자제품 등 다채로운 매장 구성.

    • 세일·신상품 발매 이벤트, 점포 간 연계 프로모션으로 고객 유입 극대화.

  2. 푸드·레스토랑&카페

    • 푸드코트, 레스토랑 거리, 디저트·스위츠 전문점 등. 식음료 다양성 강조.

    • 지역 특산물, 해외 유명 F&B 브랜드 유치로 집객력 향상.

  3. 엔터테인먼트·휴식 공간

    • 영화관(멀티플렉스), 게임센터, 키즈파크, 스포츠 체험존 등.

    • 주말 가족·커플 고객 대상으로 여가·레저 공간 기능 수행.

  4. 이벤트·체험·옥외 공간

    • 광장·옥상정원, 계절별 행사(여름 물놀이, 겨울 일루미네이션 등) 개최.

    • 자동차 전시, 아이돌·캐릭터 행사, 브랜드 팝업스토어 등으로 활기 유도.


라라포트의 세계시장 점유율

  • 일본 대형 쇼핑몰 시장에서의 위치

    • 미쓰이부동산 계열 쇼핑몰(라라포트) vs 이온몰(AEON Mall), 미쓰비시지소 계열(마리노아시티 등) 등과 경쟁.

    • 수도권·주요 도시 대형 쇼핑센터 수 및 규모 기준 업계 상위권.

  • 매출 구성(추정치, 라라포트 전체 합산)

    • 2022년 매출액: 약 2,000억 엔(약 1조 9,000억 원) 내외 추정 (코로나로 인한 변동은 있으나, 점차 회복)

      • 임대료·점포 임대 수익: 약 60%

      • 주차장·광고·이벤트 수익: 약 20%

      • 기타(옥외 매장, 부대시설·서비스 수익 등): 약 20%

  • 해외 매출 비중

    • 대부분 일본 국내 사업이 주축, 일부 해외(아시아) 진출 사례 있으나 전체 매출 비중은 10% 미만 추정.


라라포트의 경영 방침

재무 성과

  • 매출액

    • 2022년: 약 2,000억 엔 전후 추정, 코로나 이후 외출·쇼핑 수요 회복세 반영

  • 영업 이익

    • 임대 수익이 안정적이나 경기·소비 동향에 영향 받음. 이벤트·부가시설로 수익 다변화

  • 순이익

    • 시설 유지·리뉴얼 투자 필요, 중장기적으로 미쓰이부동산 그룹 내에서 안정적 수익원으로 평가

경영 철학과 전략

  • “쇼핑 + 라이프스타일 경험 제안”

    • 단순 쇼핑 장소 넘어, 엔터테인먼트·레저·맛집·문화 체험을 한데 모은 체류형 공간 추구

  • 디지털·OMO

    • 모바일 앱 기반 쿠폰·멤버십 포인트, 온라인 예약·이벤트 정보 통합.

    • 일부 점포 온라인몰·배송 서비스와 연계(EC+오프라인 융합).

  • ESG·공간 혁신

    • 친환경 건축(에너지 절감, 그린 루프 등), 지역 커뮤니티 축제·장터 후원,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리뉴얼·신규 출점

    • 인기 브랜드 유치, 트렌디한 스타트업 매장·팝업샵 도입, 주기적 리뉴얼로 고객 신선도 유지

  • 해외 전개

    • 동남아·중국 등에 현지 합작 형태로 시범 운영, 일본식 쇼핑몰 문화 수출 시도



급여

  • 평균 연봉(정규직 기준)

    • 600~700만 엔(약 5,600~6,600만 원) 범위, 미쓰이부동산 그룹 내 중간 수준

  • 성과급

    • 보너스: 연 2회, 회사 실적+점포 운영 실적+개인 평가 반영

      • 기본 급여의 4~5개월분 지급 추정

  • 승진 및 인상

    • 본사 기획·마케팅, 점포 관리자 등 성과+연공 혼합 평가. 임대 영업 실적 등도 중요

복리후생

  • 건강 관리

    • 정기 건강 검진, 사내외 피트니스·헬스케어 프로그램 일부 제공

  • 교육 지원

    • 부동산·유통·마케팅 세미나, 해외 쇼핑몰 견학, 전문 자격(FP, 부동산주택관리사 등) 취득 보조

  • 근무 환경

    • 본사 사무직: 유연 근무 일부 시행, 주말 행사 근무 가능(이벤트 시). 점포 운영직: 교대근무(주말 근무 필수)

    • 연간 20일 이상의 유급 휴가

  • 가족 지원

    • 육아 휴직(남녀 모두), 보육 수당, 사택(본사 근무자) 등 그룹 복지

  • 기타 혜택

    • 미쓰이부동산 그룹 시설 할인(호텔·레저·스키장), 쇼핑몰 입점 브랜드 할인(일부), 주택자금 대출 우대 등


참고 자료

  • 라라포트(ららぽーと) 공식 웹사이트: 쇼핑몰 정보, 점포 안내

  • 미쓰이부동산(Mitsui Fudosan) IR 자료: 리테일 부문 매출, 라라포트 개발 계획

  • 일본 유통협회: 쇼핑몰·백화점 업계 통계

  • 일본 경제신문(Nikkei): 2023년 소매·상업시설 업계 동향 기사

  • Statista: 글로벌 및 일본 유통·부동산 시장 데이터


이상으로 라라포트(ららぽーと, LaLaport)의 역사부터 주력 사업, 시장 점유율, 경영 방침, 그리고 (추정치를 포함한) 급여와 복리후생까지 숫자를 통해 간략히 분석해보았습니다. 라라포트는 미쓰이부동산이 전개하는 대규모 쇼핑몰 브랜드로, 패션·푸드·엔터테인먼트·이벤트 등 종합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여 일본 전역에서 인기 있는 상업시설로 자리잡고 있으며, 부동산·유통 업계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도 기획·운영·마케팅 등 다양한 커리어 기회를 제공하는 매력적인 플랫폼이라 할 수 있습니다.

bottom of page